세미와 매직큐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미와 매직큐브는 수학 마법을 소재로 한 애니메이션이다. 주인공 세미가 매직큐브를 통해 수학 마법을 배우고, 악당 제트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요 등장인물로는 세미, 엑스, 와이, 제트 등이 있으며, 초급, 중급, 고급, 최상급 마법과 어둠의 마법 등 다양한 종류의 마법이 등장한다. 2018년부터 EBS에서 방영되었으며, 시즌 1과 2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JTBC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카비온
카비온은 드림팩토리스튜디오에서 제작하고 KBS 1TV에서 2023년 9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방영된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으로, 다양한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유은과 최정아가 오프닝, 박은비가 엔딩 보컬을 맡았고, 중계 및 특별 편성으로 여러 차례 결방되기도 했다. - JTBC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피피루 안전특공대
피피루 안전특공대는 EBS에서 기획하고 제작한 애니메이션으로, 주인공 피피루와 등장인물들이 안전을 주제로 이야기를 펼치며, 악당들의 방해를 받으며 2018년에 총 26개의 에피소드가 방영되었다. - 202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슈퍼다이노
슈퍼다이노는 KBS 2TV에서 방영된 정의로운 강철과 동료들이 악당 데몬에 맞서는 애니메이션으로, 변신 로봇 완구 제품으로도 출시되었다. - 202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안녕 자두야
《안녕 자두야》는 이빈 작가의 만화를 원작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 서울을 배경으로 10살 소녀 최자두와 가족, 친구들의 성장기를 유쾌하고 따뜻하게 그려낸 대한민국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국내외에서 큰 인기를 얻어 다양한 수상과 해외 방영을 통해 작품성을 인정받고 국제적인 인지도를 쌓았다. - 한국교육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심슨 가족
《심슨 가족》은 미국 중산층 심슨 가족을 중심으로 스프링필드라는 가상 도시를 배경으로 미국 사회를 풍자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이며, 성인용 풍자와 패러디를 담고 있어 미국 성인용 애니메이션으로 분류되지만, 논란과 비판도 존재한다. - 한국교육방송공사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 은하철도 999
은하철도 999는 마츠모토 레이지가 그린 SF 만화로, 기계 인간에게 어머니를 잃은 소년 테츠로가 메텔과 함께 기계 몸을 얻기 위해 은하철도 999호를 타고 우주를 여행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TV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어 한국에서도 방영되었다.
세미와 매직큐브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만화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정보 | |
원작 | 양스마일 픽쳐스 |
감독 | 최미란 |
각본 | 안유정 박지연 |
음악 (1기) | 김동욱 |
음악 (2기) | 김동욱 임보미 채민주 김완정 |
음향 감독 (1기) | 김지희 |
음향 감독 (2기) | 김지희 김수경 |
캐릭터 디자인 (1기) | 최수정 이진주 김경채 조요한 소경호 윤헌 노현이 |
캐릭터 디자인 (2기) | 최수정 이진주 남정민 요한12스튜디오 (노현이, 소경호) |
프로듀서 | 최미란 |
프로듀서 (1기) | 심재은 류진선 신다예 |
프로듀서 (2기) | 심재은 류진선 이다혜 정지은 |
편집 (1기) | 손명진 정은수 한국주 홍석찬 |
편집 (2기) | 손명진 정은수 소윤선 Wei Xiaohan |
방송사 | EBS 1TV |
그외 방송사 | EBS 2TV EBS KIDS JTBC 애니맥스 투니버스 챔프 애니원 애니박스 대교 어린이TV TVB Jade |
방영 개시 (1기) | 2018년 8월 1일 |
방영 종료 (1기) | 2019년 2월 7일 |
방영 개시 (2기) | 2020년 3월 30일 |
방영 종료 (2기) | 2020년 5월 26일 |
애니메이션 제작 | 레인보우 브릿지 스튜디오 두루픽스 |
제작사 | EBS |
화수 (1기) | 26화 |
화수 (2기) | 26화 |
화수 (3기) | 26화 |
저작권 | EBS, DOOROOPIX NETWORK, YANG SMILE, R.B.ENM All rights reserved |
2. 등장인물
이 작품에는 주인공 세미를 비롯하여 엑스(X), 와이(Y), 제트(Z) 등 주요 인물들과, 홍고하, 엑스돌이, 흑돌, 교장, 스승, 시월, 흑풍의 발키리, 나세르, 성배의 세 정령, 엘리제, 베토베니 등 그 외 여러 인물들이 등장한다. 또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파라오, 홍정하, 아르키메데스, 셜록 홈즈, 레오나르도 다 빈치, 루트비히 판 베토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요제프 하이든 등 역사 속 위인들이 특별 출연한다.
2. 1. 주요 인물
등장인물 | 설명 | 사용 마법 |
---|---|---|
세미 | 10년 전 제트(Z)에게 부모님을 잃고 3명의 사촌 오빠와 함께 살고 있다. 와이(Y)를 만나 수학마법을 배우며, 매직큐브가 선택한 대수학술사이다. 공포의 빨간치마라고도 불리며, 수학에 대한 열정이 넘친다. 1기에서는 긴 머리를 땋았지만, 2기에서는 단발머리이다. 어여쁘고 단정한 외모로 여러 사람에게 인기가 많다. 오빠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크며, 상급마법을 사용할 정도로 마법 실력이 뛰어나다. | 어둠의 마법을 제외한 모든 마법 |
엑스(X) | 교장의 아들. 제트(Z) 때문에 타락했지만 26화에서 다시 돌아온다. 와이(Y)에게 열등감을 느낀다. | 어둠의 수학술 + 최상급 마법을 제외한 모든 마법 |
와이(Y) | 교장의 제자. 세미와 교장을 지키려다 엑스(X)의 마법에 맞아 백호(여러 인물에게 고양이나 강아지로 오해받음)가 되지만, 눈물을 흘리면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다. 18세이며, 오만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 최상급 단계 마법, 어둠의 마법을 제외한 모든 마법 |
제트(Z) | 10년 전 세미의 부모님을 살해하고 두루마리를 훔쳐 엑스(X)를 흑화시킨다. 25화에서 정확한 모습이 드러났지만 26화에서 소멸한다. 시즌 2에서 다시 등장했다가 소멸한다. | 어둠 마법 |
홍고하 | 3화에 첫 등장. 특별한 능력은 없지만, 가방에서 물건을 잘 찾고 최첨단 기계를 잘 다룬다. 홍정하의 후손이다. 미래에는 데스페라도라는 이름의 최고의 타임 에이전트가 되고, 시월과 연인 관계가 된다. | 없음 |
엑스돌이 | 엑스(X)의 마법으로 태어나 3화에 첫 등장. 다양한 구슬을 던져 공격한다. 여러 인물에게 꼬맹이라고 불린다. 자신이 깜찍하고 매력이 치명적이라고 착각한다. | 어둠의 마법 구슬 |
흑돌 | 숙종 시대의 조선에 살던 유일하게 남은 독고파 무사. 무한검을 뽑아 21화에서 검에 갇혔다가 24화에서 다시 등장했지만 결국 다시 갇힌다. 2기에서 다시 등장한다. 세미를 좋아하며 와이(Y)에게는 차갑게 대한다. 세미를 세미낭자, 홍고하를 홍소년이라고 부른다. 세미와 홍고하에게 무사님이라고 불린다. | 무한검법 |
교장 | 엑스(X)의 아버지이자 와이(Y)의 스승. 수학마법학교의 교장이다. | 최상급 단계 마법을 제외한 모든 마법 |
스승 | 흑돌의 스승. | 독고파 무사의 마법 |
시월 | 미래에서 온 타임 에이전트. 2기에서 홍고하를 지킨다. 미래의 홍고하와 연인, 스승과 제자 관계이다. 홍고하를 귀염둥이라고 부른다. 무술을 잘한다. | 부채 소환 |
흑풍의 발키리 | 제트(Z)를 동경하는 어둠의 마녀. | 어둠의 마법 |
나세르 | 독고파를 처음 만든 알람브라 궁전의 무사. 2기에서 호기심으로 무한검을 뽑았다가 갇힌다. | 없음 |
성배의 세 정령 | 물, 불, 풀 모양을 하고 있다. 물은 이성적이고 공정하며, 불은 욕망을 좋아하고, 풀은 선하다고 생각하는 것만 좋아한다. | 없음 |
엘리제 | 음악 행성 뮤지크에 사는 소녀. 베토베니를 존경하며 좋아한다. | 없음 |
베토베니 | 음악 행성 뮤지크에 사는 음악술사. 청각을 잃었지만 세미 덕분에 희망을 갖고 다시 음악을 할 수 있게 되어 세미를 좋아한다. | 없음 |
2. 2. 그 외 인물
- 나세르: 독고파를 처음 만든 알함브라 궁전의 무사이다. 2기에서 호기심으로 무한검을 뽑았다가 갇혔다.
- 성배의 세 정령: 물, 불, 풀의 모습을 한 정령들이다. 물은 이성적이고 양쪽에 공정하며, 불은 욕망이 있는 것을 좋아하고, 풀은 오로지 선하다고 생각하는 것만 좋아한다.
- 엘리제: 음악 행성 뮤지크에 사는 소녀이다. 베토벤을 존경하며 좋아한다.
- 베토베니: 음악 행성 뮤지크에 사는 음악술사이다. 청각을 잃었지만 세미 덕분에 희망을 갖고 다시 음악을 할 수 있게 되어 세미를 좋아하게 된다.
2. 3. 위인 캐릭터
- 3화: 레온하르트 오일러
- 5화: 파라오
- 7화: 홍정하
- 9화: 아르키메데스
- 11화: 셜록 홈즈
- 22화: 레오나르도 다 빈치
- 2기 10화: 루트비히 판 베토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요제프 하이든
3. 수학 마법 목록 및 아이템
세미와 친구들이 사용하는 수학 마법은 다음과 같다.
'''초급'''
- 加|가중국어 (더하기)
- 減|감중국어 (빼기)
- 除|제중국어 (나누기)
- 乘|승중국어 (곱하기)
'''중급'''
- 올가미|올가미중국어
- 벽 (세미는 몸 주변에, 와이 등은 주변 물체로 방어막을 만든다.)
- 폭파
- 감금
'''고급'''
- 소용돌이|소용돌이중국어
'''최상급'''
- 가열
- 감열
- 물의 노래
- 불의 춤
'''어둠의 마법'''
- 표창
- 창
- 어둠의 창
- 어둠의 올가미
- 폭발
- 0의 카오스
- 소멸
- 검은 회오리
- 검은 소용돌이
- 공허의 카오스
'''무한 검의 마법'''
- 월광미소
- 빙산맹화
- 미소천사
- 무한검법
'''엑스돌이의 구슬 마법'''
엑스돌이는 구슬을 이용해 폭탄, 보쌈, 연막, 감 등의 마법을 사용한다.
3. 1. 수학 마법 목록
초급: 加|가중국어, 減|감중국어, 除|제중국어, 乘|승중국어중급: 올가미|올가미중국어, 벽(세미의 경우 몸 주변 벽, 와이와 다른 사람의 경우는 주변 물체를 방어로 만듦.), 폭파, 감금
고급: 소용돌이|소용돌이중국어
최상급: 가열, 감열, 물의 노래, 불의 춤
'''어둠의 마법'''
표창, 창, 어둠의 창, 어둠의 올가미, 폭발, 0의 카오스, 소멸, 검은 회오리, 검은 소용돌이, 공허의 카오스
'''무한 검의 마법'''
월광미소, 빙산맹화, 미소천사, 무한검법
'''엑스돌이의 구슬 마법'''
폭탄, 보쌈, 연막, 감
3. 2. 엑스돌이의 구슬 마법
엑스돌이는 다양한 구슬 마법을 사용한다. 그 종류와 특징은 다음과 같다.종류 | 마법 |
---|---|
일반 | 폭탄, 보쌈, 연막 |
감 | 타임워치, 다고쳐 반창고 등 |
3. 3. 아이템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세미와 매직큐브'에 등장하는 아이템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가 없다. 따라서 '아이템'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4. 방영 목록
회차 | 제목 | 방송 일자 |
---|---|---|
1화 | 깨어난 매직큐브 | 2018년 8월 1일 |
2화 | 위기에 빠진 수학마법학교 | 2018년 8월 2일 |
3화 | 또 다른 시간여행자! | 2018년 8월 8일 |
4화 | 끝나지 않는 달리기 | 2018년 8월 9일 |
5화 | 스핑크스의 수수께끼 | 2018년 8월 15일 |
6화 | 석실에서 탈출하기 | 2018년 8월 16일 |
7화 | 독고파 무사 흑돌 | 2018년 8월 22일 |
8화 | 조선시대 수학대결 | 2018년 8월 23일 |
9화 | 점박이 사기꾼 | 2018년 8월 29일 |
10화 | 수상한 호텔 | 2018년 8월 30일 |
11화 | 매직큐브 도난 사건 | 2018년 9월 5일 |
12화 | 범인은 바로 너! | 2018년 9월 6일 |
13화 | 와이 없는 시간여행 | 2018년 12월 26일 |
14화 | 승하여라! 테셀레이션도! 사랑도! | 2018년 12월 27일 |
15화 | 세 도적 | 2019년 1월 2일 |
16화 | 엑스돌이의 습격! | 2019년 1월 3일 |
17화 | 미래 소녀 | 2019년 1월 9일 |
18화 | 겁쟁이 군인 | 2019년 1월 10일 |
19화 | 용기와 두려움 | 2019년 1월 16일 |
20화 | 고스트나이트 | 2019년 1월 17일 |
21화 | 무한 검의 비밀 | 2019년 1월 23일 |
22화 | 다시 한 번만, 타임워치! | 2019년 1월 24일 |
23화 | 다시 만난 흑돌 | 2019년 1월 30일 |
24화 | 돌아온 수학마법학교 | 2019년 1월 31일 |
25화 | 매직큐브의 비밀 | 2019년 2월 6일 |
26화 | 성배의 시험 | 2019년 2월 7일 |
27화 | 다시 깨어난 매직큐브 | 2020년 3월 30일 |
28화 | 뒤틀린 세계 | 2020년 3월 31일 |
29화 | 공포의 섬 | 2020년 4월 1일 |
30화 | 비밀의 석판 | 2020년 4월 6일 |
31화 | 무한 검의 세계 | 2020년 4월 7일 |
32화 | 망각의 강 | 2020년 4월 8일 |
33화 | 흑돌을 찾아서 | 2020년 4월 13일 |
34화 | 대결! 시시포스 | 2020년 4월 14일 |
35화 | 행성 뮤지크 | 2020년 4월 15일 |
36화 | 마지막 음악술사 | 2020년 4월 20일 |
37화 | 마법곡 월광소나타 | 2020년 4월 21일 |
38화 | 블랙 세미의 등장 | 2020년 4월 22일 |
39화 | 유토피아 | 2020년 4월 27일 |
40화 |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 | 2020년 4월 28일 |
41화 | 메마른 세계 | 2020년 4월 29일 |
42화 | 사라진 매직큐브 | 2020년 5월 4일 |
43화 | 큐브의 선택 | 2020년 5월 5일 |
44화 | 사라진 아이들 | 2020년 5월 6일 |
45화 | 검은 그림자의 탄생 | 2020년 5월 11일 |
46화 | 발키리의 목적 | 2020년 5월 12일 |
47화 | 사라진 수학자들 | 2020년 5월 13일 |
48화 | 사람들을 구하는 이유 | 2020년 5월 18일 |
49화 | 안녕, 엑스 | 2020년 5월 19일 |
50화 | 과거와 미래 | 2020년 5월 20일 |
51화 | 숨겨진 성배를 찾아서 | 2020년 5월 25일 |
52화 | 정해진 미래는 없어! | 2020년 5월 26일 |
53화 | ??? | 2024년 방영예정 |
5. 목소리 출연
배역 | 1기 성우 | 2기 성우 |
---|---|---|
세미 | 박지윤 | |
엑스 | 김명준 | |
와이 | 남도형 | |
제트, 교장 | 정재헌 | |
홍고하 | 심규혁 | |
엑스돌이 | 권지애 | |
흑돌 | 김영선 | |
시월 | 곽규미 | |
발키리 | 최덕희 | |
스승 | 엄상현 | |
기타 | 엄상현, 오민혁, 정영웅, 이민규, 전태열, 한만중, 김보민 | 전태열, 장은숙, 김영은, 정혜원, 조경이, 민승우, 김하루, 홍범기, 이상준, 김아롱, 이보용 |
6. 제작진
EBS가 기획·제작한 애니메이션 《세미와 매직큐브》는 여러 제작진이 협력하여 만들어졌다. 1기와 2기 모두 레인보우 브릿지 스튜디오와 두루픽스가 애니메이션 제작을 담당했다.
1기에는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발전기금의 제작 지원이 있었다. 책임 프로듀서는 한상호, 프로듀서/감독은 최미란, 시나리오는 안유정, 박지연, 수학 자문은 이강숙, 캐릭터 원작은 양스마일 픽쳐스, 제작 총괄은 김현수가 맡았다.
2기 책임 프로듀서는 안소진이며, 프로듀서진에는 최미란, 심재은, 류진선, 이다혜, 정지은이 참여했다. 시나리오는 안유정, 박지연, 수학 자문은 김영종, 제작 총괄은 김현수가 맡았다.
《세미와 함께하는 가스안전》은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제작 지원으로 EBS가 기획·제작한 특별편이다.
6. 1. 1기
역할 | 이름 |
---|---|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발전기금 |
책임 프로듀서 | 한상호 |
프로듀서/감독 | 최미란 |
시나리오 | 안유정, 박지연 |
수학자문 | 이강숙 |
캐릭터 원작 | 양스마일 픽쳐스 |
애니메이션 제작 | 레인보우 브릿지 스튜디오, 두루픽스 |
제작총괄 | 김현수 |
프로듀서 | 심재은, 류진선, 신다예 |
캐릭터디자인 | 최수정, 이진주, 김경채, 조요한, 소경호, 윤헌, 노현이 |
소품 디자인 | 이찬형, 배완례, 소윤선, 김경채, 이진주 |
스토리보드 | 조영대, 김미향, 신다예, 최수정 |
애니메틱스 | 손명진, 정은수 |
레이아웃 | 이찬형, 배완례, 최수정, 이진주, 김은지 |
원화 | 김상민, 박해나, 최상필, 이철학, 박연경, 이웅현, 조후상, Song-qingxin|송칭신중국어, Dong-peng|동펭중국어, Ju-hao|주하오중국어 |
동화 | 장홍서, Zhang-hong-rui|장홍루이중국어, Geng-xin|겡신중국어, Wang-ai-Ju|왕아이주중국어, Zhang-li-min|장리민중국어, Sun-yu-ping|순유핑중국어, Lin-xiao|린샤오중국어, Wei-yu-chen|웨이유첸중국어, Pang-yi-wei|팡이웨이중국어, Zhao-xin-yi|자오신이중국어, Sun-ming-hao|순밍하오중국어, Zhao-tian-yang|자오톈양중국어, Meng-fan-sheng|멍판성중국어 |
컬러 | 이추향, Ji-jia-ping|지지아핑중국어, Meng-ling-hua|멍링화중국어, Zhang-hong-fang|장홍팡중국어, LI-qiu-xiang|리치우샹중국어 |
애니메이팅 | 이찬형, 배완례, 황철, 이정현, 양선인, 김아름, 배지형, 양연숙, 이구순, 김보람, 김대현, 김미선, 박해청, Tan-wenfeng|탄웬펭중국어, Wang-lin|왕린중국어, Jiao-shengdi|쟈오성디중국어 |
배경 | 유상하, 정우진, 이주희, 송기동, 이대희, 차주선, 박성현, 이혜임, 임혁수, 조한모, 서강호, 이수지, 최태미, Wang-yuquan|왕유콴중국어, Yang-simiao|양시먀오중국어, Jiang-dianbo|지앙디안보중국어 |
촬영/편집 | 손명진, 정은수, 한국주, 홍석찬 |
음악 감독 | 김동욱 |
작곡 | 김동욱, 임보미, 채민주 |
음향 감독 | 김지희 |
오프닝 작사 | 김영섭 |
엔딩 작사 | 안유정 |
노래 | 김관호, 승애림, 정흠밴드 |
녹음/믹스 | POPES |
사업 총괄 | 문현식 |
사업 기획 | 장정환, 박설아, 유승현 |
종합 제작 | 토키 미디어 |
편집감독 | 우동철 |
음향감독 | 김성두 |
컴퓨터그래픽 | 김남시 |
조연출 | 김은경, 김지현, 김다녕 |
연출 | 최미란 |
기획·제작 | EBS |
6. 2. 2기
레인보우 브릿지 스튜디오, 두루픽스에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 제작 총괄은 김현수가 맡았다. 시나리오는 안유정, 박지연이 작성하였고, 수학 자문은 김영종이 담당했다. 캐릭터 원작은 양스마일 픽쳐스이다.역할 | 담당자 |
---|---|
책임 프로듀서 | 안소진 |
프로듀서 | 최미란, 심재은, 류진선, 이다혜, 정지은 |
시나리오 | 안유정, 박지연 |
수학 자문 | 김영종 |
사업 기획 | 박설아 |
캐릭터 원작 | 양스마일 픽쳐스 |
애니메이션 제작 | 레인보우 브릿지 스튜디오, 두루픽스 |
제작 총괄 | 김현수 |
캐릭터 디자인 | 최수정, 이진주, 남정민, 요한12스튜디오(노현이, 소경호) |
배경 디자인 | 유상하, 정형헌, 신현중, 양미숙, 이미경, 이수정, 조연주, 홍성희, 황연주 |
스토리보드 | 조영대, 최석훈, 최수정 |
애니메틱스 | 이다혜, 정지은 |
레이아웃 | 이찬형, 배완례, 최수정, 이진주, 소윤선, 박규연, 남정민 |
소품 디자인 | 이찬형, 배완례, 최수정, 이진주, 소윤선, 박규연, 남정민 |
원화 | 이찬형, 배완례, 최수정, 이진주, 원동우, 홍재성, 강선영, 이진숙, Dong Peng, Park Haena, Park Haecheong, Wu Jiaxin, Song Hui, Yan Shuyue, Han Sihua, Han Xianglan, Zhong Wang |
동화/컬러 | 이찬형, 배완례, 최수정, 이진주, 박규연, 남정민, 최찬영, 박소현, 황철, 이정현, 김아름, 김성령, 김대현, 김미선, 배지형, 양연숙, 이구순, 김보람, Tan Wenfeng, Yuan Ming, Jiao Shengdi |
배경 | 유상하, 정형헌, 신현중, 양미숙, 이미경, 이수경, 조연주, 홍성희, 황연주, 서강호, 이수지, 최태미, 이슬기, 장해리, Sun Wenqing, Wang Yuquan, Yang Simiao, Jiang Dianbo |
촬영/편집 | 손명진, 정은수, 소윤선, Wei Xiaohan |
음악 | 김동욱, 임보미, 채민주, 김완정 |
음향 | 김지희, 김수경 |
오프닝 작사 | 김영섭 |
엔딩 작사 | 안유정 |
노래 | 정민경 |
녹음/믹스 | POPES |
편집감독 | 우동철 |
조연출 | 김은경, 전영준 |
연출 | 최미란 |
6. 3. 세미와 함께하는 가스안전
한국가스안전공사의 제작 지원으로 EBS가 기획·제작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